패스트패션이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왠지 패스트푸드와 비슷한 느낌을 주는데요. 의미 자체는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시면 됩니다. 마치 패스트푸드와 마찬가지로 저렴한 가격으로 빠르게 만들어지는 옷들을 의미하는데요.
싼 가격대에 만들어지는만큼 그만큼 소비가 빠르게 진행되고 버리는 것도 빨라서 많이 버려진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옷을 만드는 과정을 보면 모든 과정마다 탄소 배출이 일어나고 물도 많이 사용이 됩니다.
놀라운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청바지 한 벌을 만들 때 필요한 물의 양은 한 사람이 10년 넘게 마실 수 있는 물의 양인 7천 리터 가까이 된다고 합니다.
많이 버려지는 것에 대한 문제도 적지 않은데요. 아크릴이나 나일론 등 합성섬유로 만든 옷을 쉽사리 썩지가 않는데다가 썩는 과정에서 독성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환경에 좋지 않은 영양을 끼치게 됩니다.
이번 유럽연합의 패스트패션 규제의 근본적인 목적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패스트패션 규제의 방법은?
잠시 입고 빠르게 버려버리는 패스트패션 대신에 오래 입을 수 있고 덜 버리는 옷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해당 규제의 핵심 내용입니다.
많이 빨더라도 쉽게 손상이 가지 않고 쪼그라들지 않는 튼튼한 옷을 만들자는 것이지요. 전자제품을 보면 에너지 효율 등급을 알려주는 표기들이 있는데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옷마다 이 정도 튼튼하다는 것을 공식화할 수 있는 공통의 기준 마련을 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얼마나 버려지는지 공개를 하라는 부분도 규제의 하나입니다. 즉 안팔려서 버리는 옷이 얼마나 되는지 공개적으로 알려주라는 것이지요. 식품 판매와 같이 팔 수 있을 만큼 옷을 만들라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또한 재활용 잘 되게 만들어야 합니다.
다른 사람이 입고 난 뒤에도 버리지 말고 새로운 옷으로 다시 활용이 될 수 있도록 재활용 잘 되는 소재로 옷을 만들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된다면 최근 주목받고 있는 리셀 시장에서 의류 거래도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체감상 먼 이야기라고 느끼시는 분들도 있을텐데요.
그렇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는 전 세계에 패스트패션의 반대 개념인 슬로패션 열풍이 불 것이라는 전망도 많이 나오는 상황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패스트패션의 문제에 대하여 인지하면서 이 분야를 리딩 하는 기업들의 매출 상승세가 꺾이는 추세입니다. H&M 등을 예로 들 수가 있을 것 같은데요. 이와는 반대로 지속 가능한 패션을 추구하는 기업은 느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명품 브랜드인 버버리는 2040년까지 환경 친화 기업이 되겠다고 공언을 한 상황이고 업사이클링 가방으로 유명한 프라이탁은 블랙프라이데이 때 온라인몰 대신 중고 거래 플랫폼을 오픈하여 소비자들 간에 서로 가방을 바꿔 쓸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이 밖에 세계적인 패션 기업들이 자체 중고 플랫폼을 만드는 상황입니다.
결국은 덜 쓰고 덜 버리는 게 핵심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왕이면 오래 입을 수 있는 옷을 사서 오래되거나 헤지면 고쳐 입거나 나눠 입어서 불필요한 낭비를 줄이는 소비 습관이 환경보호 및 자원 절약의 지름길이라고 보입니다.
댓글